2025 융복합집담회: 연결과 감각

관객 중심 전시를 위한 대화

Introduction

서울대학교에는 규장각, 박물관, 미술관(MoA), 문화예술원 등 국내 최고 수준의 문화기관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전문성과 자산을 바탕으로 각 기관은 오랫동안 학술적 전통을 이어왔지만, 변화하는 관람 환경 속에서 이제는 ‘관객 중심의 전시 기획’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융복합집담회: 연결과 감각’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기술, 디자인, 예술, 큐레이션이 어떻게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전시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자리입니다. 국내외 전시 현장에서 활약 중인 전문가들을 초청해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고, 학교 안팎의 문화기관이 함께 협력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각 회차별로 흥미로운 강연과 토론이 이어집니다. 서울대 구성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Programs

[집담회] 2025.11.7.(금) 14:00~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
김용주 (국립현대미술관 디자인 기획관) <연결과 감각: 배치를 통한 전시의 서사 읽기>

[집담회] 2025.11.21.(금) 14:00~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이수경 (국립춘천박물관장) <보이는 것, 보이지 않는 세계를 잇는 전시 기획>

[집담회] 2025.12.12.(금) 14:00~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곽동엽 (씨투아테크놀러지 기술감독) <연결과 감각: 오디오 비주얼 키네틱 아트의 타임라인을 통해 만들어지는 새로운 경험>

[집담회] 2025.12.19.(금) 14:00~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
김충배 (구립허준박물관 관장) <고고학자의 박물관 전시>

[집담회] 2026.1.9.(금) 14:00~ 서울대학교 규장각 강당
김아영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모두를 위한 미술관’을 위한 서울시립미술관의 실천>

[집담회] 2026.1.16.(금) 14:00~ 서울대학교 규장각 강당
전배호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전문경력관) <전시디자인 변화를 읽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연출 중심>

[오시는 길]

(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03동)
▶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3번 출구)
- 셔틀버스(행정관행) 탑승 → 행정관 하차 후 도보 5분
- 버스 5511 → 정문 하차, 도보 10분 / 버스 5513 → 법대 사회대 입구 하차, 도보 5분
▶ 지하철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1번 출구) → 관악산입구 관악아트홀 중앙도서관 버스정류장
- 버스 5516(서울대정문 방면) → 법대 사회대 입구 하차, 도보 2분

(2) 서울대학교 박물관 (70동)
▶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3번 출구)
- 버스 5511 탑승 → 경영대 행정대학원 하차, 도보 5분
▶ 지하철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1번 출구) → 관악산입구 관악아트홀 중앙도서관 버스정류장
- 버스 5516(경영대 행정대학원 방면) → 경영대 행정대학원 하차, 도보 5분

(3) 서울대학교 미술관(MoA) (151동)
▶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3번 출구)
- 버스 5511, 5513 → 정문 하차, 도보 3분
▶ 지하철 경전철 신림선 관악산역(1번 출구) → 도보 15분
- 정문 왼편 회색 건물, 교문 옆 원형광장 계단 이용

Related Events

  • 2025 융복합집담회: 연결과 감각

  • 오픈마이크 Open Mic

  • SOUND PACK LIBRARY

  • 문화관 기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