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 프리오프닝

파워플랜트, 극장이 되다

Introduction

서울대학교는 2022년 7월 ‘문화예술원’을 설립하였다. 문화예술원은 기술시대를 넘어 다가올 문화시대(cultural turn)을 대비하고, 문화를 매개로 대학-사회가 소통하는 전기를 마련함을 목표이다. 문화예술원은 오래된 문화관을 재건축함과 동시에 창작자를 키우는 인큐베이션 센터를 만들 계획이다. 센터에는 많은 문화기업들이 멘토로 참여하여 K-Culture가 쌓아온 스케일과 기획력, 그리고 주제의식을 학교와 공유한다. 서울대 문화예술원의 관심은 ‘기술과 결합한 동시대 문화’이다.

2022년 9월 27일(화) 문화예술원의 첫 행사를 연다. ‘파워플랜트, 극장이 되다’라는 제목으로 창작인큐베이션센터로 거듭날 파워플랜트를 일반에 소개한다. 파워플랜트는 지난 40년간 학교에 난방을 공급하던 곳인데, 이제 온기 대신 ‘문화에너지와 창작의 기운’을 학교에 보내게 된다. 행사 이후 이 공간은 리모델링되어 창작인큐베이션센터로 거듭날 예정이다. 해외에서도 문화 예술 인력의 성장을 위해 인큐베이션과 레지던시 모델이 보편화되고 있다.

행사 내용은 A.I.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퍼포먼스와 음악으로 구성된다. 교내의 박제성, 김영선 교수가 참여하고 외부 전문가로 다운라이트와 정영두 안무감독이 참여한다. 행사 주안점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파워플랜트 점검과, 다양한 장르와 형식을 하나로 결합해 내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행사 장소는 서울대학교 제1파워플랜트(68동)로 미디어 전시와 공연으로 구성된다.
무대제작: 다운라이트
케이터링: 팍스키친
촬영: 서울대학교 소통팀
조향: 미누시아

Programs

[전시] <Universe>, <Enter the water together>, <연은>
2022.9.26.(월) ~ 2022.9.28.(수) 15:00-21:00

2022.9.27.(화)
15:00-16:00 [퍼포먼스] <강화 고사古事 소리>, <약속과 즉흥사이 1,2>, <부재의 존재>, <자진아리>
17:00-18:00 [오프닝 리셉션] <파워플랜트, 극장이 되다>
18:00-19:00 [퍼포먼스] <강화 고사古事 소리>, <약속과 즉흥사이 1,2>, <부재의 존재>, <자진아리>

Artist

박제성Je Baak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영국 런던의 로얄 칼리지 오브 아트(RCA)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21년 DDP 서울라이트 메인작가로 <자각몽-다섯가지 색>을 선보이는 등 런던과 서울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열고 사치 갤러리의 한국 현대미술전 코리안 아이 2012,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 서울 2016, Ars Electronica 2017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2010년 중앙미술대전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16년 VH 어워드에서 그랑프리등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영상매체 연합전공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공간 설치, Art & Technology 분야를 연구, 교육하고 있으며 문화예술원 예술감독, 인공지능예술연구센터 창립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김영선Youngsun Kim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Horn(사사: 이희철)을 전공한 후, Berklee College of Music(MA, USA)에서 Phil Wilson, Tom Plsek, Marshall Sealy에게 사사하고 Music Production and Engineering을 전공했다. 이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건축음향 연구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Photos & Sketch

Related Events

  • 관악 AMP UP

  • 서울대학교 문화예술원 프리오프닝

  • ICA Insight 01: Byul.org

  • Instant Flow 순간의 흐름